교육자료

교육자료

"[理知논술]요약문-뒷이야기 상상문 쓰면 창의력 쑥쑥" -동아일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이트관리자
작성일14-08-13 16:20 조회1,280회 댓글0건

본문

"[理知논술]요약문-뒷이야기 상상문 쓰면 창의력 쑥쑥"


[동아일보]

■ 전문가가 권하는 통합논술을 위한 초중생 독서법

“통합교과형 논술에 대비하려면 독서 습관을 바꿔야 한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이 2008학년도 입시부터 치를 예정인 통합교과형 논술은 다양한 제시문과 ‘다(多)문항, 다(多)논제’ 형식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문항, 다논제’ 형식의 논술 문제는 하나의 글을 완성하는 과정을 ‘요약-비판-자기주장’ 등의 단계로 나누어 평가한다. 특히 인문계 논술의 경우 이 같은 경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통합형 논술 시험을 잘 보려면 짧은 시간에 많은 분량의 제시문과 그림, 도표 등을 정확하게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초중학생 시절부터 ‘폭넓게, 논리적으로 읽는’ 독서 습관을 익혀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초등학생, 암기식 독서는 버려라.

전문가들은 초등학생 때부터 통합교과형 논술에 대비한 독서를 시작할 것을 권한다.

우선 책을 달달 외우며 읽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굳이 어려운 개념을 외우게 할 필요는 없으며 논술학원에서 제시하는 어려운 필독서를 강요해서도 안 된다. 아이들이 책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초등학생은 무엇보다 흥미를 가지고 집중해서 책을 읽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박정하 성균관대 교수는 “초등학생들은 어려운 고전보다는 동시나 동화처럼 가벼운 문학작품에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정서적으로 책을 읽으라는 얘기다. 그렇게 해야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잘 표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차윤경 한양대 교수는 “초등학생이라면 좋아하는 분야의 책을 먼저 읽히고 관심분야를 넓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령 과학 책만 좋아하는 아이라면 역사가 섞여 있는 과학책을 쥐여 주는 식으로 영역을 넓혀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얘기다.

○어떤 책을 읽힐까?

서울대 논술시험 출제위원을 역임했던 박효종 서울대 교수는 “그리스 신화, 성경, 아라비안나이트, 삼국지처럼 인류의 문명을 다룬 책 정도는 초중학생 때 읽어두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 책들은 사상적 토양을 제공하기 때문에 미리 읽어 두면 통합교과형 논술에 자연스럽게 대비하게 된다는 것.

서울시교육청의 초등독서 지도서를 집필한 박주현(서울 신도림초등학교) 교사는 연령별로 영역을 달리 할 것을 제안했다. 박 교사는 “흥미 있는 분야를 우선적으로 읽게 하되, 자아개념이 형성되지 않은 초등 1·2학년은 동시나 위인전을, 3·4학년은 창작동화를, 5·6학년은 세계명작을 읽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중학생이 되면 교과 공부에 매달려 그 전까지 잘 해 왔던 논술대비 공부가 무용지물이 돼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박승렬 LC교육연구소장은 “중학교는 논술이라는 측면에서는 사각지대와 같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이 무렵에는 교과서 단원과 관련 있는 역사, 문화, 과학 등 비문학 책을 골라 읽도록 하는 것이 좋다. 책을 읽을 때도 당장 어떤 성과를 바라기보다는 교과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면서 배경지식을 쌓는다는 기분으로 임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신문기사를 검색해 비문학과 관련된 내용을 스크랩하는 것도 좋다. 이런 훈련은 나중에 제시문을 분석하고 요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독서-토론-논술’ 3박자 능사 아니다.

최근 학교나 논술학원, 학습지 회사 등에서 독서-토론-논술로 이어지는 3단계 교육법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논술교육의 경우 초중학생들에게 틀에 박힌 생각을 심어 주는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통합교과형 논술이 요구하는 창의성을 망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책을 읽고 난 후의 느낌을 비판적으로 말할 수 있도록 부모나 교사가 분위기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박주현 교사는 △밑줄 긋기 △질문 만들고 답하기 △중심 단어나 문장을 연결해 요약문 쓰기 △앞 이야기를 들려주고 뒷이야기 상상하기 △책에 나오는 체험활동 직접 따라하기 등을 추천했다.

만약 아이들이 이런 활동을 충분히 소화해낸다면 그때는 토론을 시켜도 좋다. 이때에는 느낀 점 외에 저자의 생각을 비판하거나 자신의 주장을 펴는 등 좀 더 높은 차원의 토론을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흥미를 잃지 않도록 배려하는 게 중요하다.

최세미 기자 luckysem@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